‘왕좌의 게임’ 대중에게 인기 끈 이유는? 과학적 효과 분석 발표
영국과 아일랜드 대학의 과학자들이 TV시리즈 ‘왕좌의 게임’이 어떻게 대중에 인기를 끌었는지를 데이터 과학 및 네트워크 이론으로 분석했다.
■ 주요동향
영국과 아일랜드의 5개 대학(코번트리, 워릭, 리머릭, 케임브리지, 옥스퍼드)의 연구원들은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보에 유명 TV시리즈 ‘왕좌의 게임*’의 원작인 ‘얼음과 불의 노래’에 대한 논문을 11월 2일 발표했다.
* 조지 R.R. 마틴의 원작 소설 ‘얼음과 물의 노래’를 기반으로 소설가인 데이비드 베니오프와 D.B. 와이스가 제작하고 HBO(미국의 유료 케이블 방송)에서 방영한 판타지 TV시리즈
이 논문은 왕좌의 게임처럼 복합한 이야기가 어떻게 전세계를 매료시켰는지, 각 대학의 물리학자, 수학자, 심리학자 팀이 모여 데이터 과학과 네트워크 이론을 사용하여 인기의 이유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캐릭터간 상호작용이 배열되는 방식이 현실 세계에서 관계를 유지하는 방식과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작품 속에서 2천명이 넘는 캐릭터와 이들 간 4.1만개 이상의 상호작용에도 불구하고, 각 챕터 별 처리되는 캐릭터와 상호작용의 횟수는 인간의 두뇌가 평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 현황분석
많은 대중들은 일련의 사건들이 모인 줄거리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지만, 복잡하게 얽힌 줄거리를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무작위처럼 보이는 등장인물들의 죽음은 철저히 심리적 한계 내에서 신중히 설계되었으며, 실제 세계에서 비폭력적인 인간 활동에 대한 사건이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보여준다.
■ 시사점
이번 논문 발표는 데이터 과학과 네트워크 이론 등 연구자 간 협업을 통해 유명 원작소설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과학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V 시리즈와 원작에 관심이 많은 대중들에게 과학기술문화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확산 전략이다.
단순히 인기비결을 분석하는 대신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해보이는 현상을 정량적인 데이터만으로 분석했고, 나아가 미래기계학습과 결합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사용해서 향후 이야기의 진행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는것도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이러한 보도가 유명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전달된다면, 과학기술이 일상 속 문화를 즐기는 과정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