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지원을 통한 잠재력 있는 학생의 발굴 및 잠재성 계발 도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2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2025. 3. 1.~2026. 2. 28.
온라인 선과정 운영(7월 예정), 창의디자인캠프 운영(8월 예정), 사사연구과정 성과발표대회(‘26년 1월 예정)
전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https://gifted.ac)
과학고·영재학교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원 및 차세대 과학기술리더로서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다각화·전문화·고도화 촉진
전국 27개 과학고·영재학교 및 학교 밖 과학영재
‘02년~현재
’25.2월 기본계획 작성, 3월 사업계획 공모, 4월 협약체결, 9~10월 중간점검, 11~12월 성과공유, ‘26.1~2월 최종보고 및 정산
전국 27개 과학고·영재학교
’25.3월~‘26.2월(예정)
학교 차원의 디지털 교육 함양, 학생을 위한 차세대 리더역량 강화,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능동적 연구·연수, 자체 특화프로그램 운영 등 각 학교별 여건에 적합한 교수학습 환경개선
지원영역 | 중점과제 | 운영 프로그램 |
---|---|---|
학교역량 강화 | 디지털 교육 함양 | SW·AI 등 디지털 에듀테크 등을 활용한 과학영재 학습프로그램 도입·운영 |
학생역량 강화 | 차세대 역량 | 미래사회 리더로서 소통과 협업 및 리더십 증진을 위한 학생 프로그램 운영 |
체험의 날 운영 | 과학고·영재학교 인프라를 활용한 지역 시민과의 공감대 형성 프로그램 운영 | |
교원역량 강화 | 능동적 연구·연수 | 과학영재 교수학습 환경개선을 위한 교원 AR 등 연구활동 프로그램 운영 |
자체역량 강화 | 학습환경 개선 | 과학고·영재학교 내 학습환경 개선 등 여건에 적합한 자체 특화프로그램 운영 |
과학고 및 과학(예술)영재학교
‘25. 4월~12월(예정)
과학고·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역량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교사(교수연구원)-학생으로 팀을 구성해 연구활동 추진
- 8개 연구분야(수학·물리·화학·정보·생명과학·지구과학·융합·공학), 5개 연구유형(자율·지정주제·다년도·IP·글로벌협력R&E) 총 500개 연구활동 지원
전국 27개 과학고·영재학교
’25.4~12월(예정)
과학영재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교사협의회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상담 및 선배와의 멘토링, 정서함양 힐링캠프 등 프로그램 지원
지원영역 | 중점과제 | 운영 프로그램 | |
---|---|---|---|
교원 전문성 강화 | 교원협의회 운영 | 온-오프라인 과학고·영재학교 상담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협의체 운영 | |
프로그램 개발 | 과학고·영재학교 교원이 자체 개발하는 현장 중심 상담프로그램 개발·공유 | ||
학 생 | 정서적 갈등문제 해결 | 선배와의 멘토링 | 각 과학고·영재학교 모교 출신 선배들과의 온오프라인 멘토링 기회 지원 |
학생/학부모 상담 | 정서적 갈등을 겪는 학생/학부모 대상 상담전문가 온오프라인 코칭 지원 | ||
정서캠프 운영 | 하계방학(1박2일, 과기원), 과학영재 스트레스 관리 등 정서함양 캠프 운영 | ||
정서 함양 | 초·중생 학습지원 | 과학고·영재학교 재학생의 지역 초·중학생 수과학 학습 지원 및 고민 상담 |
전국 27개 과학고·영재학교
’25.4월~‘26.2월(예정)
과학영재들이 방학기간 중 과기특성화대학 첨단연구실에서 사전-집중-사후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과학적 마인드를 함양하는 특화프로그램 운영
모집대상 | 운영일정 | 운영규모 | 교육내용 | 비고 |
---|---|---|---|---|
과학고·영재학교 재학생 | ‘25.7~8월/’26.1~2월 | 50명 내외(예정) | 교수특강, 사전-집중-사후 연구, 멘토링 등 | KAIST 등 국공립 과기원프로그램 개발·운영 |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추천 소외지역/소외계층 잠재적 영재
’25.4~12월(예정)
소외지역/소외계층 초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적 소양 증진을 위해 고경력 과학기술인을 연계한 과학특강, 학습지도 멘토링, 탐구/탐방활동 지원
잠재영재 수혜자 발굴 | 멘토링 전문가 구성 | 비고 |
---|---|---|
17개 시도교육청 소외지역/소외계층 추천 초·중생
-영재교육기관 미설치 지역 혹은 전문기관(교육청, 아동센터, 청소년 센터 등)과 연계 |
고경력 과학기술인(ReSEAT 전문위원 등)
-전문기관(출연(연), 과학관, 대학, 과학기술 협‧단체 등과 연계하여 전문가-풀 확보 |
‘25년 수혜자규모 : 연인원 3,586명 수준
-고경력 과기인(486명 참여), 잠재영재(126명 발굴), 연간 479회 멘토링 |
과학고·영재학교 학생, 과기특성화대학 입학예정자
‘25.4월~‘26.2월(예정)
과학고·영재학교교육과정에대학1학년수준과목을 편성 후, 이를 이수한 학생이 과기특성화대학 입학 후 이수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공동AP 제도 운영 및 과기특성화대학에 입학 예정인 일반고 출신 이공계 신입생의 수·과학 분야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온라인AP 브릿지 프로그램
제4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23~’25)에 따라, 전국 27개 과학고・영재학교 교원의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를 중심축으로 각 학교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내실화 실효성 확보 촉진
- (기존) 선도학교 수업모델 중심 교육과정 혁신 → (변경) 교원 역량강화 중심의 학교별 교육과정 특성화・전문화 유도
제4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23~’25) 추진성과 추수 및 제5차 종합계획(’26~’30)에 적합한 프로그램 운영 지원체계 검토
과학영재 정서함양 프로그램 운영 지원, 과학영재 첨단연구실 체험캠프(Pre-URP) 운영 지원, 고경력 과학기술인 브릿지 프로그램 운영 지원 등
세계 과학영재들의 경연인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 및 국내 개최 지원 등을 통한 과학 영재교육의 국제화 도모
초중등 학생(과학영재)
98년 ~ 계속 (과학영재양성사업)
국제과학올림피아드(7~12월), 과학영재학생캠프/교사연수(12월 예정)
수학, 물리, 화학, 정보, 생물, 천문, 지구과학, 중등과학 총 8개 분야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및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회 참가 학생 선발 및 교육 운영 지원
ASEAN+3 국가 및 협력 국가 간 과학영재 학술 교류를 위한 과학영재 학생캠프, 교사워크숍, 과학탐구대회 등 운영
※ASEAN+3 회원국: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0개국 + 한국, 중국, 일본 3개국 등 총 13개국
[참관국: 스웨덴, 대만, 동티모르]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대표단 출신 선후배 멘토-멘티 교육 활성화 및 대회 수상자 등 우수 인재 후속지원 방안 모색, 양질의 국제과학올림피아드 교육 개방·공유 확대 및 성과 확산, 국제과학올림피아드의 국내 개최를 통한 수학·과학영재교육 저변확대 추진 등
2024년 제15회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및 제17회 교사워크숍의 한국 현장 개최 추진과 제19차 ASEAN+3 과학영재센터 이사회 개최 등을 통해 과학영재 양성 노하우 공유·교류 및 공동 성장 도모
구분 | 수학 (제66회) |
물리 (제24회) |
화학 (제56회) |
정보 (제36회) |
생물 (제35회) |
천문 및 천체물리 (제17회) |
지구과학 (제17회) |
중등과학 (제21회) |
물리토너먼트 (제37회) |
---|---|---|---|---|---|---|---|---|---|
개최국(도시) | 영국 (바스) |
말레이시아 (캄파르)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브라질 (바수라스) |
중국 (베이징)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헝가리 (부다페스트) |
대회기간 | 7.11.~7.22. | 7.21.~7.29. | 7.21.~7.30. | 9.1.~9.8. | 7.7.~7.14. | 8.17.~8.26. | 8.8.~8.16. | 12.2.~12.12. | 7.10.~7.17. |
대표단 | 6명 | 8명 | 4명 | 4명 | 4명 | 5명 | 8명 | 6명 | 1팀(5명) |
성적 | 금2, 은4 / 108국 | 금5, 은1, 동2 / 27국 | 금1, 은1, 동1, 장려1 / 84국 | 금1, 은3 / 88국 | 금2, 은2 / 76국 | 금2, 은2, 동1 / 53국 | 은2, 동2 / 32국 | 금5, 은1 / 51국 | 동5(1팀) / 38국 |
연도 | 내용 | 비고 |
---|---|---|
2007 | 한국 주도로 ASEAN+3 과학영재센터 설립 제안(1월) | 제10차 ASEAN+3 정상회의 |
2008 | ASEAN+3 과학영재센터 설립(9월) | 제1차 ASEAN+3 과학영재자문협의회(’07년4월) 및 과학기술장관 회의(’07년10월)에서 한국 설립 결정 |
2009 | 시범사업 실시 계획 협약(2월) |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추진 |
2010 | 제1회 ASEAN+3 과학영재 지도자 연수 및 학생캠프 개최(1월) | 사업 연도는 2009년 기준 |
2009~2024 (사업 연도) |
중학생 과학실험 탐구대회(APT JSO) | 10회 |
ASEAN+3 과학영재센터 이사회 | 18회 | |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겨울) | 14회 | |
ASEAN+3 과학영재 교사워크숍 | 16회 |
한국과학올림피아드조직위원회 및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조직위원회 홈페이지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https://www.kmo.or.kr |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http://kpho.kps.or.kr |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https://chemolympiad.kcsnet.or.kr | 한국정보올림피아드 | https://koi.or.kr |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https://kbo.bioedu.kr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https://www.kasolym.org:449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 https://www.keso.or.kr:6019 |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https://www.kjso.or.kr |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 http://www.kypt.or.kr | - | - |
과학영재교육 정책방향 수립, 현안 해소 등에 필요한 연구 수행 및 성과 교류·확산
전 국민
’98년 ~ 계속 (과학영재양성사업)
과학영재교육 페스티벌(’25.11월 예정)
과학영재교육 발전기반 조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 기획 등 연구 수행
과학영재양성사업의 성과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영재교육기관 간 성과 교류를 통한 상호 발전 지원
「과학영재 발굴·육성 전략(’23~’25)」 중점추진과제 실행을 위한 모델 기획 및 성과 관리 위한 협의체 운영
다양한 주체가 참여, 과학영재 양성의 성과를 교류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네트워킹의 장 마련
제5회 과학영재교육 페스티벌 개최(’25.11월 예정)